본문 바로가기

클라우드

(419)
HTML5 기본 구조와 작성법 CSS 스타일 태그 외부 스타일 시트를 작성 후 필요할 때 불러온다(import)-> head에서 코드 작성 : 코드 작성 후 style.css 로 저장
git hub (깃허브) push , pull, ssh $ cd ldh :~/ldh$ git init local-repo :~/ldh$ cd local-repo :~/ldh/local-repo$ echo "version1" >> file1 :~/ldh/local-repo$ touch file2 :~/ldh/local-repo$ git add . :~/ldh/local-repo$ git commit -m "add file1 file2" :~/ldh/local-repo$ git remote add origin https://github.com/Do-du/git_test.git :~/ldh/local-repo$ git remote -v :~/ldh/local-repo$ git pull origin master --allow-unrelated-histories :~..
git 깃 브랜치 (Branch) 브랜치(Branch) 독립적으로 어떤 작업을 진행하기 위한 개념이다. 필요에 의해 만들어지는 각각의 브랜치는 다른 브랜치의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, 여러 작업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습니다. 여러 개발자들이 동시에 다양한 작업을 할 수 있게 만들어 주는 기능 독립적인 작업 영역(저장소) 안에서 마음대로 소스코드를 변경할 수 있다 A B→ C 새로운 기능 추가 → D 버그 수정 → E 사이드바 추가 병합(Merge) 이렇게 만들어진 브랜치는 다른 브랜치와 병합(Merge)함으로써, 작업한 내용을 다시 새로운 하나의 브랜치로 모을 수 있다 여러 명이서 동시에 작업을 할 때에 다른 사람의 작업에 영향을 주거나 받지 않도록, 먼저 메인 브랜치에서 자신의 작업 전용 브랜치를 만든다. 그리고 각자 작업을 진행한 후..
git 깃 변경 이력 병합(Merge) 내가 끌어온 저장소가 최신 버전이 아닌 경우, 즉 내가 pull 을 실행한 후 다른 사람이 push 를 하여 원격 저장소를 업데이트 해버린 경우에는 내 push 요청이 거부되어 버린다 원격 저장소 A (12:06) B(17:30) C(20:25) 이미 파일이 변경되어 PUSH 요청 거부 ↑ A (12:06) B(17:30) X(23:20) 이런 경우에는 병합(merge) 을 하여 다른 사람의 업데이트 이력을 내 저장소에 갱신 병합하지 않은 채로 이력을 덮어쓰게 되면 다른사람이 push한 업데이트 내역(C)이 사라진다 원격 저장소 A (12:06) B(17:30) C(20:25) ↓ A (12:06) B(17:30) C(20:25) X(23:20)
git 깃 push,clone,pull push 원격 저장소로 변경된 파일을 업로드하는 것 저장소에 내 변경 이력이 업로드되어, 원격 저장소와 로컬 저장소가 동일한 상태가 된다. clone 원격 저장소를 복제하여 원격 저장소의 내용을 통째로 다운로드하는 것 복제한 저장소를 다른 PC에서 로컬 저장소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누군가의 변경 이력이 적용된 원격 저장소가 있으면, 그걸 웹에서 통째로 복제하여 내 PC에서 직접 작업할 수 있다 pull 원격 저장소를 공유해 여러 사람이 함께 작업을 하면, 모두가 같은 원격 저장소에 푸시(Push)한다. 다 사람이 원격 저장소에 올려놓은(Push) 변경 내용을 내 로컬 저장소에도 적용(Pull)할 필요가 있다 원격 저장소에서 로컬 저장소로 업데이트하려면 풀(Pull)을 실행한다 pull 을 실행하면, 원..
git 깃 초기 설정, commit (커밋) git이란? 소스코드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개발된 '분산형 버전 관리 시스템' 소스코드가 변경된 이력을 쉽게 확인 할 수 있고, 특정 시점에 저장된 버전과 비교하거나 특정 시점으로 되돌아갈 수도 있다. Git으로 파일을 관리하면, 업데이트 이력이 Git에 저장된다. 매번 백업용 파일 복사본을 만들 필요가 없어서 편하고 깔끔하다 commit(커밋) 파일 및 폴더의 추가/변경 사항을 저장소에 기록하는 것 출처 : https://backlog.com/git-tutorial/kr/intro/intro1_1.html
github 깃허브 working directory staging area local repo remote repo git add working directory staging area sudo apt install git # git 설치 git commit -am "version2" # git add 와 git commit 한번에 git diff #변경 된 부분 보는법 tracked :파일의 상태를 git이 following untracked : git이 관심이 없는 상태 ,staging x add x staged : stagigng 상태인 파일 git add 된 상태 tracking을 하고 싶지 않은 파일을 .gitignore 파일에 등록하여 관심없는 파일로 만든다 디렉토리가 비어있으면 안올라감 # 새로운 파일과 디렉터..
vscode 단축키 ctrl+n 새파일 ctrl+s 파일 저장 ctrl+p 파일 검색 ctrl+f 문자 검색 ctrl+방향키 화면이동 ctrl+shift 다중선택가능(다중으로 입력도 가능) ctrl+, setting ctrl+tab 열린 창 선택 ctrl+j 터미널 전체 화면 ctrl+b 사이드 바