클라우드/오픈스택(OpenStack)
OpenStack 오픈스택 환경 구성 2
두뚜
2021. 9. 2. 14:37
https://daaa0555.tistory.com/412
OpenStack 오픈스택 환경 구성 1
# admin 사용자로 project02 생성 admin에 admin 권한 할당 # testuser 사용자 생성 및 member 역할 할당 testuser 사용자 생성 하면서 project02에 권한 할당 # 플레이버 생성 이름 : f1.normal vcpu : 1 ram..
daaa0555.tistory.com
1. 키페어 생성
2. 외부 네트워크 생성 ( 프로바이더 네트워크)
이 네트워크 안의 아이피 대역을 Floating IP로 할당
외부에서 접속이 가능하면 서비스를 구성 할 수 있다
3.라우터 (외부/내부 연결)
서로다른 네트워크 대역이 연결 되도록
소프트웨어 적으로 라우터 기능을 할수 있는 장치 사용
4. Floating IP (외부 IP)
5. 보안 그룹 (방화벽 역할)
어떤 패킷을 받겠다고 제어를 해줄 수 있음
# 이미지 확인
퍼블릭으로 설정하여 다른 프로젝트에서도 이용 할 수 있다.
# 인스턴스 생성
# 인스턴스에 유동IP 연결
# 프라이빗키 전송
host컴퓨터에서 컨트롤러에 프라이빗 키를 전송하고 컨트롤러 접속
# 인스턴스 SSH 연결
컨트롤러에 접속 후 키의 권한을 변경한 후 vm01 인스턴스에 접속
# vm01 인스턴스 확인
설정한 플레이버에 따라 활성화가 되어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