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반적인 네트워크 구분은 라우터(L3SW)가 함. -물리적, 위치에 따른 네트워크 구분
vlan : 논리적인 네트워크 분리/연결 가능
하나의 케이블에 여러 종류의 트래픽 전달 가능
브로드캐스트 도메인 영역을 줄일 수 있음
이더넷 헤더에 tagging을 함으로 차단하는 보안정책이 가능
PC1----switch1----Router----switch2----pc2
Router-------switch------VoIP-----PC
하나의 케이블에 여러 종류의 트래픽 전달 가능
Router-----switch-------pc1 (vlan 1)
-------pc2 (vlan 2)
설정하는 방법
Router :
연결한 물리 인터페이스 활성화,
vlan 수만큼 서브인터페이스(가상) 생성
L2 encapsulation type지정-(802.1Q, ISL )
vlanID와 서브인터페이스 맵핑
sub interface-vlan별 gateway ip 지정
switch :
필요한 vlan 생성(다중 vlan환경)
access port/trunk port 구성
access port
pc가 연결되는 포트 , 하나의 vlan에 속함,
tagging 필요없음. (여러 vlan 중 어느 vlan인지 지정)
trunk port
switch-switch, switch-router, 여러 vlan이 다니며,
tagging되는 포트 (tagging 방식이 2가지 있음 : 표준IEEE 802.1Q, 비표준 cisco ISL )
데이터가 쪼개지면서 이더넷 헤더구조가 달라짐->encapsulation해야함
show vlan : vlan ID 확인, 해당 vlan 의 access port 확인
'네트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L3 Switch(L3 스위치) 설정 (0) | 2021.04.30 |
---|---|
VLAN 설정 (0) | 2021.04.29 |
STP과 VLAN 에 따른 프로토콜 (0) | 2021.04.29 |
STP Protocol 2 (Spanning -Tree Protocol)/RSTP Protocol(Rapid Spanning -Tree Protocol) (0) | 2021.04.29 |
STP Protocol 1 (Spanning -Tree Protocol) (0) | 2021.04.29 |